500일의 썸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00일의 썸머》는 톰과 썸머의 500일간의 연애를 독특한 시간 배열로 그린 로맨틱 코미디 영화이다. 톰은 사랑을 운명으로 믿는 반면, 썸머는 사랑을 믿지 않으며, 영화는 톰의 시점에서 썸머와의 만남과 이별, 그리고 그 이후의 성장을 보여준다. 주요 인물로는 톰 핸슨과 썸머 핀이 있으며, 조셉 고든 레빗과 조이 데이셔넬이 각각 톰과 썸머 역을 맡았다. 영화는 비선형적인 스토리텔링, 음악의 활용, 그리고 주연 배우들의 연기로 호평을 받았으며, 다양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크 웹 감독 영화 - 어메이징 메리
어메이징 메리는 7살 수학 천재 메리를 삼촌 프랭크가 키우면서 외할머니와 양육권을 두고 갈등을 겪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 마크 웹 감독 영화 -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는 앤드루 가필드가 스파이더맨 역을 맡아 유전자 변형 거미에 물린 고등학생의 이야기를 그린 2014년 슈퍼히어로 영화로, 일렉트로, 그린 고블린, 라이노 등 새로운 악당들과 그웬 스테이시의 비극적인 죽음을 다루며 소니 픽처스의 스파이더맨 유니버스 구축 시도에 영향을 주었다. - 우울증을 소재로 한 영화 - 리스트커터스 - 러브 스토리
리스트커터스 - 러브 스토리는 자살한 지아가 전 여자친구를 찾아 여행하며 기적, 컬트 등을 경험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 우울증을 소재로 한 영화 - 레볼루셔너리 로드
샘 멘데스 감독의 영화 레볼루셔너리 로드는 195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불만과 권태에 빠진 부부의 이야기를 그리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케이트 윈슬렛이 주연을 맡아 사회적 순응주의와 파국으로 향하는 관계를 묘사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비선형 서사 영화 - 시민 케인
오손 웰스 감독의 영화 《시민 케인》은 신문 재벌 찰스 포스터 케인의 삶과 "로즈버드"라는 단어를 둘러싼 이야기를 혁신적인 기법과 복잡한 서사로 풀어내 영화 역사상 위대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비선형 서사 영화 - 올드보이
올드보이는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로, 15년간 감금되었다 풀려난 오대수가 자신을 가둔 이우진에게 복수하는 과정에서 충격적인 진실을 마주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500일의 썸머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500) Days of Summer |
감독 | 마크 웹 |
각본 | 스콧 노이스타터 마이클 H. 웨버 |
제작 | 메이슨 노빅 제시카 투친스키 마크 워터스 스티븐 J. 울프 스콧 G. 하이먼 |
출연 | 조셉 고든레빗 주이 디샤넬 |
음악 | 마이클 다나 롭 시먼슨 |
촬영 | 에릭 스틸버그 |
편집 | 앨런 에드워드 벨 |
제작사 | 듄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 |
개봉일 | 2009년 1월 17일 (선댄스 영화제) 2009년 8월 7일 (미국) 2010년 1월 9일 (일본) 2010년 1월 21일 (대한민국) 2016년 6월 29일 (대한민국, 재개봉) |
상영 시간 | 95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750만 달러 |
흥행 수익 | 6070만 달러 |
2. 등장인물
500일의 썸머에는 조셉 고든 레빗이 연기한 톰 핸슨과 조이 데이셔넬이 연기한 썸머 핀이 주연으로 등장한다. 톰은 뉴저지주 마게이트 출신으로 건축학을 전공했지만 카드 회사에서 카드 문구를 작성한다. 썸머는 미시간주 시네콕 출신으로 카드 회사에서 톰의 상사 비서로 일한다.
그 외에도 톰의 여동생 레이철 핸슨, 톰의 친구들인 맥켄지와 폴 등이 등장한다.
2. 1. 주요 인물
배우 | 역할 | 기타 |
---|---|---|
조셉 고든 레빗 | 톰 핸슨(Tom Hansen) | 남자 주인공. 뉴저지주 마게이트 출신, 건축 전공, 카드 회사에서 카드 문구 작성 |
조이 데이셔넬 | 썸머 핀(Summer Finn) | 여자 주인공. 미시간주 시네콕 출신, 카드 회사에서 톰의 상사 비서 |
클로이 머레츠 | 레이철 핸슨(Rachel Hansen) | 톰 핸슨의 여동생 |
제프리 아렌드 | 맥켄지(McKenzie) | 톰의 친구, 카드 회사 동료 |
매슈 그레이 구블러 | 폴(Paul) | 톰의 친구 |
클라크 그레그 | 반스 | 톰의 상사 |
패트리샤 벨처 | 밀리 | |
레이첼 보스턴 | 앨리슨 | 톰의 소개팅 상대 |
민카 켈리 | 오텀 | |
마일 플래너건 | 로다 | |
이베트 니콜 브라운 | 반스의 새로운 비서 | |
리처드 맥고네이글 | 내레이터 |
2. 2. 조연
- 클로이 머레츠 - 레이철 핸슨(Rachel Hansen): 톰 핸슨의 여동생이다. 주요 이동 수단은 자전거이고, 여자 축구부에서 선수로 활동한다. 아직 미성년자이지만 수 차례의 연애 경험을 바탕으로 오빠인 톰에게 가장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연애 조언을 해준다. 톰이 좋은 모습으로만 기억하고 포장하고자 했던 썸머와의 연애를 다시 되돌아 볼 수 있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 제프리 아렌드 - 맥켄지(McKenzie): 톰의 오래된 친구이자 카드 회사 동료이다. 썸머에게 "얘(톰)가 당신(썸머)을 좋아해요."라고 전달해주며 본격적으로 둘의 만남이 시작되게 한다.
- 매슈 그레이 구블러 - 폴(Paul): 톰의 오래된 친구이다. 톰이 썸머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낼 때 옆에서 힘이 되어주는 조언자 역할을 한다.
- 클라크 그레그 - 반스: 톰의 상사.[1]
- 패트리샤 벨처 - 밀리[1]
- 레이첼 보스턴 - 앨리슨: 톰의 소개팅 상대.[1]
- 민카 켈리 - 오텀[1]
- 마일 플래너건 - 로다[1]
- 이베트 니콜 브라운 - 반스의 새로운 비서[1]
- 리처드 맥고네이글 - 내레이터[1]
3. 줄거리
영화는 비선형적 서사 구조를 따르며, 톰과 썸머의 500일간의 관계를 다양한 날짜를 넘나들며 보여준다.
488일, 두 남녀가 벤치에 앉아 있고, 여자는 반지 낀 손을 남자의 손 위에 포갠다. 1일, 내레이션을 통해 톰과 썸머의 성장 배경과 운명, 사랑에 대한 상반된 철학이 소개된다. 톰은 카드 회사에서 일하던 중 사장의 비서로 들어온 썸머를 보고 자신의 운명임을 직감한다.
290일, 실연으로 힘들어하는 톰은 친구들의 조언에도 썸머를 잊지 못하고 그녀를 되찾고 싶어한다.
이후 영화는 톰이 썸머에게 한눈에 반하는 순간(4일), 썸머가 사내에서 인기녀임을 알게 되는 장면(3일), 엘리베이터에서 썸머가 톰에게 말을 거는 장면(6일) 등을 보여준다.
시간이 흘러 321일, 썸머는 회사를 그만두고 톰은 슬픔에 잠긴다. 상사는 톰에게 '죽음' 관련 카드 문구 담당으로 보직 변경을 제안할 정도로 톰은 힘든 시기를 보낸다. 톰은 썸머를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지만, 여동생 레이첼의 조언을 통해 좋았던 것만 기억하고 있음을 깨닫는다.(450일)
456-476일, 톰은 건축 일에 몰두하며 새로운 회사에 면접을 보러 다닌다. 썸머는 다른 사람과 결혼한다.
488일, 톰은 면접을 보러 간 공원에서 썸머를 다시 만난다. 썸머는 결혼했고, 톰은 썸머에게 왜 자신에게 말해주지 않았는지, 왜 같이 춤을 췄는지 묻는다. 썸머는 "그러고 싶었으니까"라고 답한다. 사랑에 회의적이었던 톰은 썸머에게 운명이나 영혼의 반려자는 없다고 말하지만, 썸머는 자신의 남편을 만나게 된 과정을 이야기하며 운명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500일, 톰은 면접장에서 새로운 여자, 어텀을 만난다. 썸머를 통해 우연도 운명도 없다고 믿었던 톰에게 약간의 예외가 생기고, 어텀에게 차 한 잔을 제안하며 새로운 시작을 암시한다.
3. 1. 만남 (1일 ~ 28일)
톰은 회사 동료 밀러의 약혼 파티에서 썸머에게 자신의 관심을 표현한다. 샴페인을 가져다주며 말을 걸고 서로에 대해 알아가는데, 톰은 자신이 건축을 전공했다는 사실을 썸머에게 이야기한다.[7]회식 자리에서 톰과 썸머, 맥켄지는 같은 테이블에 앉아 서로 인사를 나누는데, 남자 친구가 있냐는 질문에 썸머는 누군가의 '뭔가'가 되는 것이 불편하다고 대답한다. 게다가 사랑 같은 건 믿지 않는다고 덧붙인다. 톰은 썸머의 주장에 반대하며 사랑은 존재하며, "사랑이 느껴지면 알 수 있을 거예요."라고 말한다. 술에 취한 맥켄지를 택시에 태우던 중, 맥켄지는 톰이 썸머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장난스럽게 썸머에게 말해버린다. 맥켄지가 떠나고 남은 두 사람. 썸머는 톰에게 정말 자신을 좋아하냐고 묻는다. "네."라고 솔직하게 답하는 톰에게 썸머는 "친구로서?"라고 묻는다. 톰은 얼떨결에 진심을 숨기며 그렇다고 한다. 썸머는 톰이 재미있어서 친구하고 싶다고 말하고, 결국 둘은 이날 좋은 친구가 된다.[7]
3. 2. 관계의 시작과 발전 (31일 ~ 259일)
This is a story, a boy meets a girl.|이것은 한 남자가 한 여자를 만나는 이야기다.영어 But, this is not a love story.|하지만 이것은 사랑 이야기가 아니다.영어라는 의미심장한 내레이션으로 영화가 시작된다. 31일째, 톰과 썸머는 회사 복사실에서 만난다. 어색한 분위기 속에서 썸머는 갑작스레 톰에게 키스하고,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복사실을 나간다. 그날 썸머는 톰의 집까지 방문한다.[7]34일째, 두 사람은 처음으로 이케아에 방문한다. 전시된 텔레비전, 싱크대, 침대를 활용하여 다양한 역할극을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썸머는 싱크대가 고장났다는 연기를 하고, 톰은 그럴 줄 알고 싱크대가 두 개인 집을 샀다고 재치있게 받아친다. 침대에 함께 누운 썸머는 진지한 관계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톰은 실망하지만 일단 괜찮다고 동의한다. 손을 잡고 이케아를 나서는 두 사람은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 톰은 좋아하는 여자와 밤을 보내게 되어 떨리는 마음을 '가벼운 관계'라며 진정시키지만, 썸머가 침대 위에서 옷을 벗는 모습을 보자 모든 걱정이 사라진다.[7]
45일째, 두 사람은 사내에서 전화를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7]
87일째, 톰과 썸머는 레코드와 비디오 가게에서 데이트를 한다. 썸머는 옥토퍼스 가든을 비틀즈 최고의 노래라고 하지만, 톰은 동의하지 않는다. 썸머가 링고 스타를 가장 좋아한다고 하자, 톰은 "링고 스타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어"라며 썸머의 취향을 무시한다. 하지만 곧 두 사람은 성인 영화를 빌려 보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7]
95일째, 톰은 시내를 걸으며 건축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장소인 시내가 내려다보이는 벤치를 썸머에게 소개한다. 썸머는 자신의 팔과 펜을 내어주며 톰에게 도시를 그려달라고 부탁하고, 톰은 썸머의 팔에 자신이 계획한 도시의 라인을 그린다.[7]
109일째, 톰은 처음으로 썸머의 방에 초대받는다. 이 날은 톰에게 모든 것을 변화시킨 밤이었다. 썸머에게 존재하던 벽이 무너지고, 톰은 자신이 썸머의 세계에 들어왔다는 기대감에 휩싸인다. 썸머는 "아무에게도 한 적 없는 얘기인데"라며 톰을 더욱 설레게 한다. 톰은 "난 다른 사람과 다르니까"라고 답하며 썸머에게 특별한 존재가 되고 싶다는 마음을 드러낸다.[7]
118일째, 톰은 썸머와의 정의내릴 수 없는 관계에 힘들어하며 여동생에게 조언을 구한다. 여동생은 썸머에게 직접 물어보라고 하지만, 톰은 관계에 이름표를 붙이는 것이 관계를 망치는 지름길이라며 거절한다. 여동생은 "오빠가 바라지 않는 대답을 들을까 봐 무서운 거야"라고 냉정하게 지적한다. 톰은 결국 썸머에게 "우리 뭐 하는 거야?"라고 묻지만, 썸머는 "영화를 보러 가잖아"라고 질문을 이해하지 못한다. 톰이 다시 질문하자 썸머는 "나도 몰라, 무슨 상관이야? 난 행복해. 넌 안 행복해?"라고 묻는다. 톰은 행복하다고 답하고, 썸머는 "그럼 됐네"라는 애교로 톰의 화를 풀어준다.[7]
259일째, 톰과 썸머는 함께 바에 간다. 톰은 바에 온 사람들의 옷차림을 비꼬고, 썸머는 "누군 좋아하겠지"라며 퉁명스럽게 대꾸한다. 어떤 남자가 썸머에게 접근하고, 썸머는 거절하지만 톰은 방관한다. 남자가 톰을 비하하는 발언을 하자 톰은 그에게 주먹을 날린다. 썸머는 톰에게 화를 내며 "자길 못 믿겠어"라고 말하고, 톰은 "너 때문에 싸운 거야"라고 항변한다. 썸머는 "정말 나 때문에 싸운 거야?"라고 묻고 톰을 쫓아낸다. 톰은 "우린 뭔데!"라고 분노하지만, 썸머는 "우린 그냥 친구야", "나도 널 좋아하지만, 어떤 관계를 원하는 건 아니야"라고 답한다. 톰은 "우린 커플이라고!"라고 외치며 떠난다. 그날 밤 썸머는 톰의 집에 찾아오고, 톰은 관계를 규정할 필요는 없지만 일정한 뭔가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썸머는 다시 톰에게 안기며 좋아한다고 말하고, 두 사람은 몸으로 화해한다. 이 날 두 사람은 서로의 과거에 대해 이야기하고, 톰은 썸머의 전 남자친구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 다음 날, 두 사람은 공원에서 '페니스'를 외치는 놀이를 하며 데이트를 즐긴다.[7]
3. 3. 이별과 후유증 (282일 ~ 442일)
톰은 썸머와 헤어진 후, 소개팅을 하지만 썸머에 대한 이야기만 늘어놓아 상대방을 지치게 만든다.[7] 썸머와의 추억을 되새기며 둘 사이의 문제가 무엇이었는지, 그 징후를 찾기 시작한다.몇 달 후, 톰은 동료 밀리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산타바바라행 기차를 탄다. 기차 안에서 우연히 썸머를 만나고, 커피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눈다. 결혼식에서 썸머는 부케를 받고, 톰과 함께 춤을 춘다. 썸머는 톰을 자신의 파티에 초대하지만, 톰은 파티에서 썸머의 약혼 반지를 발견하고 절망한다.[7]
| 날짜 | 사건 |
| --------- | ------------------------------------------------------------------------------------------------------------------------------------------------------------------------------------------------------------------------------------------------------------------------------------------------------------------------------------------------------------------------------------------------- |
| 282일 | 톰과 썸머는 이케아에서 신혼부부 연기를 하지만, 썸머는 톰의 행동에 무관심하다. |
| 303일 | 썸머는 톰에게 "친구로 돌아갈 준비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메일을 보낸다. |
| 314일 | 톰은 혼자 영화관에서 자신의 실연에 관한 짧은 영상을 본다. |
| 321일 | 썸머는 회사를 그만두고, 톰은 슬픔에 잠긴다. 상사는 톰에게 '죽음' 관련 카드 문구 담당으로 보직 변경을 제안한다. |
| 322일 | 톰은 썸머의 모든 것을 극복하지 못하고, 그녀의 외모, 말투, 웃음소리까지 미워하게 된다. |
| 345일 | 톰은 친구의 소개로 만난 여성에게 썸머에 대한 신세 한탄을 하고, 썸머와의 추억을 되새기며 문제의 징후를 찾는다. 여성은 썸머가 남자친구를 원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말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
| 402일 | 톰은 밀리의 결혼식에 가는 기차 안에서 우연히 썸머를 만난다. 썸머는 톰에게 커피를 제안하고, 결혼식에서 함께 춤을 춘다. 썸머는 톰을 자신의 파티에 초대한다. |
| 408일 | 톰은 썸머의 파티에 가서 그녀와 다시 잘 되기를 기대하지만, 썸머의 약혼 반지를 보고 현실을 깨닫고 파티에서 도망치듯 나온다. |
| 440일, 441일 | 톰은 폐인 생활을 시작한다. |
| 441 1/2일 | 톰은 길거리의 커플에게 횡포를 부린다. |
| 442일 | 톰은 여전히 폐인 생활을 하며 회사에 지각한다. 회사 동료의 발표에 대해 비난을 퍼붓고, 사랑에 대한 회의적인 발언을 한 후 회사를 그만둔다. |
3. 4. 성장과 새로운 시작 (450일 ~ 500일)
톰 핸슨(Tom Hanson영어)은 건축가를 꿈꿨지만, 인사 카드 회사에서 작가로 일한다. 450일째 되는 날, 톰은 썸머와의 관계에서 좋았던 점만 기억하고 있음을 깨닫는다.[7] 여동생 레이첼의 조언대로 연애를 회상하며, 썸머의 변덕으로 헤어진 것이 아니라 서로를 이해하지 못했던 여러 사건들이 있었음을 알게 된다.- 톰은 썸머와 영화를 보러 가고 싶어했지만, 썸머는 무심하게 대답한다. 영화를 보고 우는 썸머를 톰은 이해하지 못한다.
- 레코드숍에서 톰은 자신이 선물한 시디를 썸머가 듣지 않았다는 사실에 실망하고, 썸머가 좋아하는 링고 스타를 놀린다.
- 썸머는 톰이 손을 잡으려고 하자 거부한다.
- 톰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물어도, 썸머는 그냥 쉬고 싶다고 답하지만, 톰은 굳이 팬케이크를 먹으러 가자고 한다.
456일에서 476일 사이에 톰은 방에 있던 물건들을 정리하고, 건축 일에 몰두하며 새로운 회사에 면접을 보러 다닌다. 여러 번 낙방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계속 건축 일을 한다. 그 사이 썸머는 다른 사람과 결혼한다.[7]
4. 영화 제작
제25회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상영 후 관객들로부터 기립 박수를 받았다.[22] 유럽에서는 스위스에서 열린 제62회 로카르노 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되었다.[23]
독립 영화로 제작되어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에 의해 배급되었으며, 2009년 7월 17일 미국과 캐나다에서 개봉한 후 2009년 8월 7일 광범위하게 상영되었다.[24] 2009년 9월 2일에는 아일랜드와 영국, 2009년 9월 17일에는 호주에서 개봉했다.[25] 마크 웹의 장편 데뷔작이며, 스콧 노이스타터의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의 실제 로맨스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작중 잉마르 베리만의 영화 《제7의 봉인》 패러디 장면이 나온다.
4. 1. 각본
이 영화는 비선형적 내러티브로 제시된다. 각 장면은 500일 중 며칠째인지를 보여주는 제목 카드로 시작한다.[5] 공동 작가인 스콧 뉴스타터는 이 영화가 실제 로맨스를 바탕으로 했다고 인정했다. 뉴스타터는 2002년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 학생 시절, 서머라는 캐릭터의 영감이 된 실제 여자를 만났을 때, 고향에서 겪었던 좋지 않은 이별의 여파로 "미친 듯이, 열정적으로, 희망 없이 사랑"에 빠졌다고 설명한다. 그 여자는 "그의 키스에는 답했지만 그의 열정에는 답하지 않았다." 관계의 결말은 "고통스럽고 잊을 수 없을 정도로 끔찍했다." 이에 그는 마이클 H. 웨버와 함께 이 영화를 공동 집필하게 되었다. 뉴스타터가 나중에 서머의 실제 모델에게 대본을 보여주자, 그녀는 톰 캐릭터에 더 공감한다고 말했다.[6] 웨버는 "우리 모두는 사랑의 고통을 겪었고, 기쁨과 슬픔을 모두 경험했기에, 스콧과 나는 이 이야기를 완전히 현실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스콧은 막 이별을 겪고 있었고, 나는 장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어서 우리 각자는 완전히 반대되는 관점, 즉 경험하는 자와 경험하지 않는 자의 입장을 가져왔고, 이러한 긴장이 더 많은 코미디를 끌어내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7]이 영화는 제25회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상영 후 영화제 관객들로부터 기립 박수를 받으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22] 뮤직 비디오를 다수 제작해 온 마크 웹의 장편 데뷔작이며, 각본을 맡은 스콧 노이스타터의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의 실제 로맨스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2009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작중에서는 잉마르 베리만의 영화 《제7의 봉인》의 패러디 장면 등을 볼 수 있다.
4. 2. 연출
이 영화는 비선형적 내러티브로 제시된다. 각 장면은 500일 중 며칠째인지를 보여주는 제목 카드로 시작한다.[5] 영화의 공동 작가인 스콧 뉴스타터는 이 영화가 실제 로맨스를 바탕으로 했다고 인정했다. 뉴스타터는 2002년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 학생 시절, 서머라는 캐릭터의 영감이 된 실제 여자를 만났을 때를 회상하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고향에서 겪었던 좋지 않은 이별의 여파로 "미친 듯이, 열정적으로, 희망 없이 사랑"에 빠졌다고 한다. 그 여자는 "그의 키스에는 답했지만 그의 열정에는 답하지 않았다."라고 묘사했다. 관계의 결말은 "고통스럽고 잊을 수 없을 정도로 끔찍했다."라고 표현했다. 이에 그는 마이클 H. 웨버와 함께 이 영화를 공동 집필하게 되었다. 뉴스타터가 나중에 서머의 실제 모델에게 대본을 보여주자, 그녀는 톰 캐릭터에 더 공감한다고 말했다.[6] 웨버 또한 "우리는 모두 사랑의 고통을 겪었고, 기쁨과 슬픔을 모두 경험했기에, 스콧과 나는 이 이야기를 완전히 현실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7]이 영화는 제25회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상영 후 영화제 관객들로부터 기립 박수를 받으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22] 뮤직 비디오를 다수 제작해 온 마크 웹의 장편 데뷔작이며, 각본을 맡은 스콧 노이스타터의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의 실제 로맨스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작중에서는 잉마르 베리만의 영화 《제7의 봉인》의 패러디 장면 등을 볼 수 있다.
4. 3. 촬영
제25회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된 이 영화는 상영 후 영화제 관객들로부터 기립 박수를 받았다.[22] 유럽에서는 스위스에서 열린 제62회 로카르노 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상영되었다.[23]독립 영화로 제작되어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에 의해 배급되었으며, 2009년 7월 17일 미국과 캐나다에서 개봉한 후 2009년 8월 7일 광범위하게 상영되었다.[24] 2009년 9월 2일에는 아일랜드와 영국, 2009년 9월 17일에는 호주에서 개봉했다.[25]
4. 4. 의상
확인 결과, 주어진 원본 소스에 '의상'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5. 음악
영화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사용하여 등장인물들의 감정과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음악은 단순한 배경음악을 넘어, 등장인물들의 음악적 취향을 보여주고 스토리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7]
톰과 썸머가 처음 만나게 된 계기는 톰이 듣던 더 스미스의 노래였다. 이후 두 사람은 회사 회식으로 가라오케에서 다시 만나게 되고, 썸머는 낸시 시나트라의 "Sugar town"을 부른다. 톰은 썸머의 귀여운 모습에 다시 한번 사랑에 빠진다. 썸머는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이름을 따 고양이 이름을 지었다고 말하는 등 영화는 주인공들의 음악 취향을 보여주는 대사들을 통해 음악이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톰은 썸머와의 관계에서 음악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고, 이별 후에도 음악으로 아픔을 달랜다. 제작진은 곡의 제목과 가사를 통해 영화의 내용을 암시하는 장치를 마련하기도 했다.[7]
5. 1. 주요 삽입곡
영화에 삽입된 곡들은 단순한 배경음악을 넘어, 등장인물들의 취향과 스토리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톰과 썸머가 처음 대화를 나누게 된 계기는 톰이 듣던 더 스미스의 "There is a light that never goes out"이었다. 썸머는 이 곡을 좋아한다며 한 소절을 부르기도 한다.
- 톰은 썸머의 관심을 끌기 위해 더 스미스의 "Please, Please, Please, Let Me Get What I Want"를 틀지만, 썸머는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다.
- 회사 회식에서 썸머는 낸시 시나트라의 "Sugar town"을 부르며 자신의 매력을 드러내고, 톰은 다시 한번 사랑에 빠진다.
- 톰은 픽시스의 원곡을 메간 스미스(Meaghan Smith)가 리메이크한 "Here Comes Your Man"을 부르며 썸머와 더 가까워진다.
- 두 사람은 전격 Z작전의 메인 테마송("Knight Rider")을 흥얼거리며 공통된 추억을 공유한다.
- 톰은 썸머를 생각하며 패트릭 스웨이즈(Patrick Swayze)의 "She's like the wind~"를 듣지만, 이별 후에는 이 노래를 싫어하게 된다.
- 썸머와 헤어진 톰은 가라오케에서 더 클래시의 "Train in Vain(Stand by me)"을 부르며 실연의 아픔을 드러낸다.
제작진은 곡의 제목과 가사를 통해 영화의 내용을 암시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 오프닝에는 레지나 스펙터의 "Us"가 흘러나오며 톰과 썸머의 어린 시절을 보여준다.
- 톰이 썸머의 파티에 가는 장면에서는 레지나 스펙터의 "Hero"가 나오지만, 톰의 기대와 달리 현실은 좌절로 이어진다.
- 톰이 가라오케에서 부른 두 곡은 각각 사랑의 시작("Here comes your man")과 끝("Train in vain")을 상징한다.
2009년 7월 14일에 발매된 사운드트랙은 미국 빌보드 200에서 최고 42위를 기록했다[65]。
# | 제목 | 아티스트 | 비고 |
---|---|---|---|
1 | "A Story of Boy Meets Girl" | 마이클 다나와 롭 시몬센 | |
2 | "Us" | 레지나 스펙터 | |
3 | "There Is a Light That Never Goes Out" | 더 스미스 | |
4 | "Bad Kids" | 블랙 립스 | |
5 | "Please, Please, Please Let Me Get What I Want" | 더 스미스 | |
6 | "There Goes the Fear" | 다브스 | |
7 | "You Make My Dreams" | 대릴 홀 & 존 오츠 | |
8 | "Sweet Disposition" | 더 템퍼 트랩 | |
9 | "Quelquun ma dit" | 카를라 브루니 | |
10 | "Mushaboom" | 페이스트 | |
11 | "Hero" | 레지나 스펙터 | |
12 | "북엔드" | 사이먼 & 가펑클 | |
13 | "Vagabond" | 울프마더 | |
14 | "Shes Got You High" | 마물라 | |
15 | "Here Comes Your Man" | 미건 스미스 | |
16 | "Please, Please, Please Let Me Get What I Want" | 시 앤 힘 | |
추가 트랙 | |||
17 | "Here Comes Your Man" | 조셉 고든 레빗 | |
18 | "슈가 타운" | 주이 디샤넬 | |
19 | "At Last" | 케빈 마이클 | |
20 | "The Infinite Pet" | 스푼 |
5. 2. 사운드트랙 앨범
2009년 7월 14일에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었다. 미국 빌보드 200에서는 최고 42위를 기록했다.[65]1. "A Story of Boy Meets Girl" – 마이클 다나와 롭 시몬센
2. "Us (Regina Spektor song)|Us영어" – 레지나 스펙터
3. "There Is a Light That Never Goes Out|There Is a Light That Never Goes Out영어" – 더 스미스
4. "Bad Kids" – 블랙 립스
5. "Please, Please, Please Let Me Get What I Want|Please, Please, Please Let Me Get What I Want영어" – 더 스미스
6. "There Goes the Fear|There Goes the Fear영어" – 다브스
7. "You Make My Dreams|You Make My Dreams영어" – 대릴 홀 & 존 오츠
8. "Sweet Disposition|Sweet Disposition영어" – 더 템퍼 트랩
9. "Quelqu'un m'a dit|Quelqu'un m'a dit영어" – 카를라 브루니
10. "Mushaboom (song)|Mushaboom영어" – 페이스트
11. "Hero" – 레지나 스펙터
12. "북엔드" – 사이먼 & 가펑클
13. "Vagabond" – 울프마더
14. "She's Got You High|She's Got You High영어" – 마물라
15. "Here Comes Your Man|Here Comes Your Man영어" – 미건 스미스
16. "Please, Please, Please Let Me Get What I Want" – 시 앤 힘
'''추가 트랙'''
1. "Here Comes Your Man" – 조셉 고든 레빗
2. "슈가 타운" – 주이 디샤넬
3. "At Last" – 케빈 마이클
4. "The Infinite Pet" – 스푼
6. 평가
는 평론가와 관객 모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화에 대한 자세한 평가는 하위 섹션인 '비평'과 '수상 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비평
마크 웹 감독은 이 영화가 로맨틱 코미디물과는 다르게 "성장 영화"에 가깝다고 묘사했다. 그는 "대부분의 로맨틱 코미디는 감정적 진실보다 공식에 더 충실합니다. 그것은 행복에 관한 것이고, 당신이 복도 끝 큐비클에 있는 여자의 파란 눈이 아니라 당신 자신의 내면에서 행복을 찾을 것이라는 것을 배우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톰의 행복은 결국 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의 내면에서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감상적이지 않으면서도 냉소적이지 않은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7]웹 감독은 데샤넬이 연기한 서머라는 캐릭터가 전형적인 인물 유형을 기반으로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서머는 미성숙한 여성관입니다. 그녀는 톰이 보는 여성의 모습입니다. 그는 그녀의 복잡성을 보지 못하고, 그 결과 가슴 아파합니다. 톰의 눈에 서머는 완벽하지만, 완벽함에는 깊이가 없습니다. 서머는 소녀가 아니라, 하나의 단계입니다."라고 설명했다.[7]
고든-레빗은 톰 역할에 공감할 수 있어서 이 역할에 끌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저도 예전에 가슴이 찢어진 적이 있습니다. 정말, 정말로 찢어졌죠. 하지만 제가 가슴 아파했던 시기를 돌아보면, 정말 웃깁니다. 왜냐하면 실제보다 훨씬 더 극적으로 느껴졌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7]
로튼 토마토에서 87%의 지지를 받았다.[66]
상 | 부문 | 대상 | 결과 |
---|---|---|---|
디트로이트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작품상 | 노미네이트 | |
감독상 | 마크 웹 | 노미네이트 | |
남우주연상 | 조셉 고든 레빗 | 노미네이트 | |
골든 글로브상 | 작품상 (뮤지컬 코미디 부문) | 노미네이트 | |
남우주연상 (뮤지컬 코미디 부문) | 조셉 고든 레빗 | 노미네이트 | |
할리우드 영화제 | 브레이크스루 각본상 | 스콧 노이스타터 마이클 H. 웨버 | 수상 |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 작품상 | 노미네이트 | |
각본상 | 스콧 노이스타터 마이클 H. 웨버 | 수상 | |
남우주연상 | 조셉 고든 레빗 | 노미네이트 | |
라스베가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각본상 | 스콧 노이스타터 마이클 H. 웨버 | 수상 |
내셔널 보드 오브 리뷰상 | 톱 10 | 수상 | |
신인 감독상 | 마크 웹 | 수상 | |
피플스 초이스 어워드 | 최우수 독립 영화상 | 노미네이트 | |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 편집상 | 앨런 에드워드 벨 | 수상 |
미국 작가 조합상 | 오리지널 각본상 | 스콧 노이스타터 마이클 H. 웨버 | 노미네이트 |
새틀라이트상 | 톱 10 | 수상 | |
각본상 | 스콧 노이스타터 마이클 H. 웨버 | 수상 | |
여우주연상(뮤지컬・코미디 부문) | 주이 디샤넬 | 노미네이트 | |
사우스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 톱 10 | 수상 | |
각본상 | 스콧 노이스타터 마이클 H. 웨버 | 수상 |
6. 2. 수상 내역
마이클 H. 웨버마이클 H. 웨버
마이클 H. 웨버
마이클 H. 웨버
마이클 H. 웨버
마이클 H. 웨버